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과민성 대장 증후군, 먹어야하는 음식, 먹으면 안되는 음식

by 필수건강 2022. 6. 21.

과민성 대장 증후군 복통, 설사, 팽만감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란?

경련, 복통, 가스 증가, 배변 습관 변화, 음식 과민증 및 팽만감을 포함하는 
성인 또는 어린이의 증상 및 징후의 클러스터 존재를 특징으로 하는 장애입니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은 '기능성' 장애로, 소화시스템 기능의 변화를 말하며,
소화 시트템의 조직에 대한 손상보다 운동에 문제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과거 경련성 결장, 장 기능성 장질환, 점액성 대장염, 신경 결장으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IBS 증상 징후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증상 및 징후
  • 복통 or 불편함
  • 배변 습관의 변경
  • 가스 증가
  • 팽만감 or 복부 붓기
  • 경련 (특정 음식을 먹은 후 경련 통증)
  • 음식 불내증
  • 구역질이 남
  • 점액 또는 거품이 많은 대변
  • 식욕 감퇴
  • 이유 없는 체중 감소
  • 소화불량
설사를 동반한 IBS : 만성 또는 재발성 설사가 특징
변비를 동반한 IBS : 복통이나 변비와 관련된 불편함이 특징

증상은 종종 배변에 의해 완화됩니다.

IBS를 앓고 있는 여성은 생리 기간 동안 더 많은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원인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원인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여러 요인 때문이라고 추정합니다.

  • 위장관 운동성의 변화
  • 비정상적인 신경계 신호
  • 통증에 대한 민감도 증가
  • 음식 편혐함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유발하는 위험 요인

 

  • 결장과 소장의 비정상적 움직임 (너무 빠르거나 너무 강함)
  • 장 또는 가스로 인한 통증에 대한 과민반응
  • 음식에 대한 민감성
  • 음식에서 설탕이나 산의 흡수가 좋지 않을 때
  • 위장염
  • 위장과 장의 바이러스 성 또는 박테리아 감염
  • 장내 박테리아 과증식(SIBO)

불안이나, 우울증도 IBS 환자들에게 관찰되지만, 직접적 원인으로 밝혀지진 않았습니다.

 

 

진단 

여섯 달 동안 한 달에 세 번 정도 증상을 겪고 있거나, 혈액검사로 인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 치료법

치료법

증상을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한 치료법이 있고,

식이 요법, 생활 습관 변화가 권유됩니다.

 

특정 식단은 없으며, 사람들 마다 다른 음식에 반응합니다.

IBS를 앓고 있는 사람들은 증상을 유발하는 음식을 선별하여 피하는 게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IBS 환자분들은 식이섬유 섭취를 늘리고, 충분한 수분 섭취와, 탄산을 피하고,

소식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 유당 불내증

예방법
(과민성 대장 증후군 먹어야 할 음식, 먹으면 안 되는 음식)

 

과민성 대장 증후군 먹어야 할 음식
  • 식이 섬유 보충제
  • 저지방 식품
  • 고탄수화물 식품(ex : 통밀 파스타, 현미, 통곡물 빵)
  • 프로바이오틱스 (락토바실러스 애시도 필루스 a, 비피도박테리움 함유) 
  • 프리바이오틱스
  • 알로에 베라 주스

 

고섬유질 식이요법은 IBS의 변비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팽만감과 가스 같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도 있음.

권장되는 섭취량은 일일 20~35그램입니다.

대부분 사람들은 일일 섬유 섭취량을 채우지 못합니다. 천천히 양을 늘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 먹으면 안 되는 음식
  • 우유, 치즈를 포함한 유제품(유당 불내증 증상은 IBS 증상과 유사할 수 있음)
  • 가스를 증가시키는 특정 채소 (콜리플라워, 브로콜리, 양배추, 브뤼셀 콩나물) 및 콩과 식물
  • 지방 또는 튀긴 음식
  • 알코올, 카페인, 탄산
  • 설탕이 많은 식품
  • 인공 감미료
  • 견과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