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복부비만과 대사증후군!, 나도 해당될까?

by 필수건강 2022. 5. 25.

 

대사증후군이란?

대사증후군은 뇌졸중, 심장병,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을 함께 증가시키는 위험인자의 군집입니다.

위험인자
  • 고혈압
  • 과도한 복부비만
  • 낮은HDL(양질의 콜레스테롤)

 

대사증후군은 많은 성인에게 영향을 미치고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합니다.

대사증후군의 증상은 어떤가요?

대사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질환들 중 일부는 명백한 징후와 증상을 가지고 있지만 그렇지 않은것들도 있습니다.

허리둘레에 지방이 쌓이는 것은 대사증후군의 위험 신호가 됩니다.

복부비만 또는 중추비만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허리 둘레를 측정함으로써 진단할 수 있고, 권장 임계값을 초과하면 복부비만으로 간주됩니다.

남성, 여성, 인종에 따라 복부비만의 기준도 다릅니다.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한 고혈당은 갈증과 배뇨증가, 피로감, 시력 흐림 등 제2형 당뇨병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대사증후군의 원인은 무엇일까?

대사증후군에 원인은 식생활과 신체활동과 같은 생활습관 요인.

유전학에 의한 요인.

식생활에 좋지 않은 좌식생활이 

가장 흔한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대사증후군은 어떻게 진단 되는가??

 

다음중3가지 이상이 있으면 대사증후군으로 진단 될 수 있습니다.
복부비만 ( 넓은 허리둘레 ) 
혈중 지방의 일종인 트라이글리세이드 수치 상승
고혈압
낮은 HDL (좋은 콜레스테롤)
제2형 당뇨병
인슐린 저항성(단식 후 혈당감소)

 

대사증후군의 치료법은?

대사증후군의 치료는 애초에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생활습관을 바꾸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있습니다.

 

권장하는 라이프 스타일
  •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고 혈압을 낮추며, 콜레스테롤 수치를 개선하는 건강한 체중유지 or 필요시 체중감소.
  • 매일 30분~60분간의 운동 - 체중감소효과와 콜레스테롤 , 혈당수치 개선, 혈압 낮추는 효과가 있음
  • 과체중일 경우 칼로리 섭취 줄임. 통곡물과 과일 야채를 늘림. 
  • 비흡연- 흡연은 대사증후군의 위험을 증가시킴
  • 어린이와 청소년은 TV시청이나, 핸드폰시청시간보다, 스포츠를 즐기는 시간을 늘리는 것

 

대사증후군을 치료하는 약?

대사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한 특별한 약은 없다.

고혈압이나 고콜레스테롤과 같은 일부 원인 질환을 지료하기 위한 약이 필요할 수 있다.

 

 

대사증후군이 있다고 생각되면 어떻게 해야할까?

 

만약 대사증후군을 갖고 있다 생각된다면 의사를 만나 진료를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약물치료과 생활습관변경은 대사증후군을 치료하고 심장병, 뇌졸중, 제2당뇨병, 만성신장질환에 걸릴 위험을 줄이도록 합니다.

병원에 내원하여 허리둘레를 측정,평가하고,

혈액검사를 받아 혈압 측정, 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이드, 혈당수치를 측정하도록 하여, 당뇨병과 심장병의 위험을 포괄적으로 측정 할 수 있습니다.

또 생활습관 변경에 대한 조언과, 약물치료로 도움을 받도록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