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비만은 크면 해결되지 않나요?
소아비만이 크면서 저절로 해결되길 바라지만,
대부분 그렇지 않습니다.
소아비만은 현재 또는 나중에 건강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 단기적으론, 같은 활동을 했을 때, 친구에 비해 호흡 곤란이나, 관절 통증이 올 수 있고,
- 정도가 심하면 제2당뇨병, 고혈압, 고콜레스테롤 과 같은 건강 문제도 동반하게 됩니다.
- 정신적으로 놀림, 왕따, 우울증 등에 노출될 확률이 높고
- 낮은 자존감을 갖게 될 수 있기에 소아비만은 조절해 주어야 합니다.
- 과체중의 어린이는 성인기에도 비만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습니다.
소아비만의 원인
- 유전적 요인
유전자가 신체 유형과 신체가 지방을 저장하고 태우는 방법을 결정하는 하나의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유전자+습관(비슷한 식사패턴+활동)으로 인해,
부모가 과체중 또는 비만인 경우 아이도 과체중일 확률이 높아집니다.
- 충분한 운동 부족
현재 자라나는 아이들은 충분한 신체활동을 하기 힘듭니다.
코로나로인해, 발달된 디지털 문화로 인해, 전세대에 비해 밖에서 노는 시간 보다, 전자제품을 들고, 실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났습니다.
필요한 활동량은
2세~5세 어린이는 매일 3시간 이상 활동해야합니다.
5세 이상의 어린이와 청소년은 매일 1시간 이상의 격렬한 운동을 해야 합니다.
- 학습으로 인해, 뛰어놀 시간이 부족
학습으로 인해, 운동할 시간도 내기 어렵고
앉은 자세로서의 생활은 비만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과식 or 건강하지 않은 가공식품 위주의 식사
패스트푸드나 가공, 포장된 식사 그리고 과자, 디저트 등
빠르고 먹기 쉬운 음식을 자주 섭취하는 습관.
- 충분하지 못한 수면시간
충분히 잠을 못 자는 아이들은 과체중일 가능성이 큽니다.
- 드물게 내분비 문제, 의약품 부작용
아이가 과체중 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
체질량 지수(BMI)를 계산
어린이의 BMI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다릅니다.
건강한 체중 :5~84번째 백분위 수
과체중 : 85~94번째 백분위 수
비만 : 95번째 백분위 수
소아비만 예방법
연령별
1세~5세 :
- 좋은 습관을 기르도록 합니다.
- 다양한 건강한 식품을 접하도록 하고,
- 활발한 활동을 하도록 격려합니다.
(체중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음식 선호도도 형성되고, 몸을 조절 사용하는 협응력도 높아집니다)
6세~12세
- 아이들이 매일 육체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시간을 내줍니다.
- 밖에서 놀거나, 가족과 함께 산책하는 일상적인 활동을 빈번하게 해 주어 자녀를 활동적으로 만듭니다.
- 좋은 건강한 음식을 제공하고,
- 그 음식을 요리하는 과정에 자녀가 참여하도록 하세요
- 배가 꽉 차면 음식이 남았어도, 그만 먹어도 된다는 생각을 가르치세요
(아기들도 배가 꽉차면 고개를 돌리거나 빨지 않습니다, 끝까지 다 먹도록 강요하지 마세요)
- 좋은 행동에 대해 과자나 간식으로 보상하지 않도록 하세요
- 모든 좋아하는 과자나 간식을 완전히 금지하지 않고, 대부분 건강식품 + 가끔 간식을 제공하도록 합니다.
( 완전히 금지하는 것은 아이들이 더 찾게 될 수 있습니다. 스스로 밖에서 몰래 먹을 수 있기에, 완전히 제한한다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13세~18세
- 10대들에게 건강한 식사와 간식을 준비하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 마트에 갈때 함께가서 좋은 음식을 선택하는 법을 가르쳐줍니다.
- 집 밖에서도 건강한 선택을 하도록 하고,
- 매일 일정 시간 활동하도록 격려합니다.
- TV를 보며 식사를 하지 않도록 하고, 가족과 함께 식사하도록 합니다.
- 아침식사를 꼭 하도록 합니다.
- 매일 적어도 5인분의 과일과 채소를 섭취하도록 합니다.
- 설탕음료, 소다 음료를 제한합니다.
- 충분한 수면을 취하도록 합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궁내막증의 증상과 불임, 자궁내막증 치료 (0) | 2022.08.23 |
---|---|
알츠하이머 초기증상 10가지에 대해 (0) | 2022.08.22 |
어린이 천식, 유아 천식을 일으키는 요인8가지와 대처법 (0) | 2022.08.19 |
뚜렛증후군, 틱장애, 유아 틱 현상 (0) | 2022.08.18 |
안구 건조증 치료법, 안구 건조증 증상, 원인 (0) | 2022.08.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