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가 되고 나선, 아이의 발달을 눈여겨보고, 의심하곤 합니다.
얘가 눈을 좀 안마주치는건 아닌가?
왜 내말에 대답을 안 하지?
혼자 스마트폰을 한참 들여다보는데, 자폐증 아닌가?
자폐증이란 어떤 것인지 알아봅시다.
자폐증이란?
일반적으로 어린아이들에게서 발견되는 뇌장애로,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 또는 'ASD'라고도 합니다.
사람들과 의사소통하는데 문제가 있고, 경증에서 중증까지 다양하며, 여자아이보다 남자아이에서 발병률이 4~5배 높습니다.
질병인가요? 장애인가요?
자폐증은 질병이 아닌 장애입니다.
어린 시절의 붕괴 장애, 만연한 발달 장애, 아스퍼거 증후군과 같은 자폐증 범주에 속하는 많은 뇌장애가 있습니다.
스펙트럼은 무엇인가요?
'스펙트럼'은 장애의 증상, 기술, 중증도의 광범위한 범위를 말합니다.
자폐증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아직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뇌구조나, 기능의 이상을 특징으로 합니다.
연구자들은 일부 독소나 약물의 영향 일수도 있다고 합니다.
(ex:발프로산, 달리도 미드, 임신 중 감염은 유아의 자폐증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합니다)
자폐증은 유전인가요?
특정 가족, 및 깨지기 쉬운 X 증후군, 결핵 경화증, 선천성 증후군 및 치료되지 않은 페닐케톤뇨증과 같은
유전적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 더 자주 발생합니다.
자폐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된, 단일 유전자는 없지만,
다른 유전적 문제가 있는 가정에서 자폐증 또는 관련 장애의 패턴이 있는 경향이 있습니다.
( 아이가 자폐증에 대한 감수성을 갖고 태어날 수 있지만, 자폐증이 일어날 수도 있고,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자폐증을 일으키는 방아쇠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자폐증 아이의 형제, 자매는 안전한가요?
자폐증을 앓고 있는 아이의 형제, 자매는 자폐증을 앓을 위험이 18.7% 라고 합니다.
일란성쌍둥이는 자폐증 발생률이 높으며, 쌍둥이 중 한 아이가 자폐증을 앓고 있다면, 둘 다 자폐증이 될 확률이 약 75%입니다.
유아의 자폐증 징후
어떤 아이는 선천적으로 징후를 보일 수 있지만, 다른 유아는 15~30개월까지 정상적으로 발달할 수도 있습니다.
자폐증에 대한 체크 리스트(M-CHAT-R / F)는 부모가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자녀의 위험을 평가할 수 있는 2단계 선별 도구입니다.
일반적 유아의 자폐증의 증상
흔들림, 회전 또는 반복되는 움직임
물리적 접촉 방지
잘 안 되는 눈 맞춤
언어 지연
단어나 짧은 문구를 반복적으로 말함
일상생활의 작은 변화에 대처 불가
친구와의 상호작용이 제한되거나 전혀 없음
1세, 2세 아이의 자폐증의 징후와 증상
자폐증의 징후는 대개 12개월~18개월 사이 나타나지만, 부모는 자폐증 증상을 무심코 넘기기도 합니다.
하지만, 빠르게 알아챈다면, 조기 치료로 아기의 뇌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습니다.
1세의 자폐증 아이 증상
- 눈을 마지치지 않음
- 부모의 목소리에 응답하지 않음
- 이름을 불러도 응답하지 않음
- 다른 사람의 행동에 반응하여 웃지 않음
2세의 자폐증 아이 증상
- 퇴행하거나 언어 능력이 지연됩니다.
- 장난감을 갖고 노는 것과는 달리, 특정 방식으로 장난감을 조작합니다.
- 다른 아이와 어울리지 않고, 놀이에 참여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감정이나 얼굴 표정을 인식하기 어렵습니다.
자폐증의 다른 징후
- 달리기 할 때의 어색한 신체 조절, 어색한 손 조절, 변비, 적은 수면, 일부 아이는 발작을 일으킴.
- Pica 또는 음식이 아닌 물건을 먹는 경향 (아이뿐 아니라 성인에게도 흔함)
자폐증 진단
언어문제
아이가 부모의 목소리, 표정에 반응하는가,
아동의 의사소통 수준을 평가하고 진단합니다.
사회성
주요 부분은 사회성 기술입니다.
자폐증을 앓고 있는 아이는 눈에서 다른 사람, 심지어 부모의 눈도 마주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자폐증을 앓고 있는 아이는 종종 대상에 집중하고, 오랫동안 다른 사람이나 다른 자극을 무시하기도 합니다.
제스처가 없는 로봇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평가
자폐증 평가에는 청력 시력 검사, 유전자 검사, 신경학적 검사가 포 관적으로 포함돼 있습니다.
사회적 상호 작용의 장애, 의사소통 장애, 제한적으로 반복적 관심사, 행동, 활동범위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릎 인공관절 수술후, 해야할 재활 운동 (0) | 2022.07.03 |
---|---|
요로감염, 소변을 못 참겠어요. 요로감염,방광염,신우신염 구별법 (0) | 2022.07.02 |
위염 관리법, 위염 가정에서 치료법. 완치를 위해 (0) | 2022.06.28 |
유당 불내증의 원인,증상, 유당이 포함된 음식! (0) | 2022.06.27 |
기저귀 발진, 아기 피부, 아기 엉덩이 발진 치료법 (0) | 2022.06.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