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가 목에 걸렸을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생선 반찬을 먹고, 가시가 걸렸을 때, 민간요법 많이들 써보시죠?
가시가 목에 걸렸을때 기침을 해보고, 밥을 꿀떡 삼켜보고, 식초를 마셔보고
결국 사연의 어린이는 목에 염증이 생겨 수술을 하게 되었는데요.
왜 수술을 하게 되었을까요?
정답 : 밥을 꿀떡 삼켜서 , 그리고 식초를 마셔서
2001년에서 2014년까지 식도에 이물질이 걸리는 삼킴 사고의 1위 원인이 바로 생선가시입니다.
생선가시는 얇고 뾰족해 목에 걸리기 쉬운데요,
생선가시가 목에 걸리면 침을 삼킬 때마다 이물감이 느껴지고, 통증을 느끼는데요.
이때, 가시를 빼겠다고, 밥을 삼키게 되면, 가시를 빼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박히게 돼, 상처를 더 크게 만들고 염증이 생기게 됩니다. 정말 작은 가시는 저절로 빠져나오기 때문에, 밥을 삼켜서 빠진 거라 착각할 수 있습니다.
큰 생선가시가 박혔을 때는 밥, 빵, 같은 고체 음식은 피해야 합니다.
식초는 왜 안 되나요?
식초는 산성물질이라 뼈가 녹을 거라 생각해 식초를 마시기도 하는데요,
식초를 마시면 식도로 그냥 넘어가버려 생선뼈가 녹진 않습니다.
오히려 산성인 식초가 가시가 박힌 식도에 자극을 주어 염증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생선가시를 빼내려고 밥을 삼키거나 식초를 마셔서 염증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목에 박힌 큰 생선가시를 그대로 두면,
식도에 구멍이 생겨 세균이 온몸으로 퍼져 생명이 위험할 수 있습니다.
목에 생선가시가 박히면
- 큰기침을 해본다.
- 물을 삼킨다.
- 병원(이비인후과)으로 가서 가시를 뺀다.
병원에는 목안에 가시를 잘 뺄 수 있는 기구가 있습니다.
특히 어린이 들은 생선을 먹을 때, 더욱 조심해서 먹어야 합니다.
목 안쪽 및 코 뒷부분에 위치하는 편도는 세균 같은 물질로부터 우리 몸을 방어하는 림프조직인데요
5살쯤 까지 점점 커지다가 그 후에는 작아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 어린이는 어른보다 편도가 커서 생선가시가 목에 잘 걸려요.
그래서 어린이들은 생선을 먹을 때 특히 더 조심해야 합니다.
반응형
'위험위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벌에 쏘였어요, 벌에 쏘였을때 대처법 (0) | 2022.06.12 |
---|---|
귀에 벌레가 들어갔을때 빼는법! (0) | 2022.06.11 |
귀에 물이 들어갔을때 어떻게 빼낼까! (0) | 2022.06.09 |
가습기 수돗물 사용 위험!, 청소법 등 올바른사용에 대해 (0) | 2022.05.24 |
여름철 위험한 말라리아 모기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5.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