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이란?
바이러스에 의해 낮밤의 큰 환절기나, 봄, 가을, 냉방을 심하게 하는 여름에도 걸릴 수 있는 감기와 달리
인플루엔자에 의해 감염되는 독감은 주로 가을과 겨울에 많이 발생합니다.
독감 증상
- 바이러스에 노출된 뒤 1일~4일 후에 갑자기 나타납니다.
- 발열 (39도가 넘는 높은 열)
- 기침
- 근육통과 통증
- 두통
- 피로감
- 인후통
- 콧물 또는 코막힘
- 설사
- 메스꺼움과 구토
독감의 합병증
- 폐렴
- 호흡부전
- 만성 건강 상태의 악화
- 입원
- 천식과 같은 합병증으로 이어지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또, 전염력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와 노인은 더 조심해야 합니다.
독감 증상 일 수 있는 아이의 행동
- 평소처럼 먹지 않음
- 평소처럼 잠에서 잘 깨어나지 못함
-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 하지 않음
- 짜증이 많아짐
독감과 코로나의 증상
독감과 코로나는 다른 바이러스입니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둘 다 전염성이 강하며, 비슷한 증상을 보입니다.
증상만으로는 둘을 구별하기가 어렵습니다.
독감과 코로나 구별은 검사로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 검사를 하여 음성 or 양성 결과지가 필요합니다.
독감일 경우 대부분의 사람들은 7~10일 사이 회복합니다.
독감 예방
독감은 감염된 환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인플루엔자가 공기 중으로 퍼지고
또 악수를 하는 등의 신체접촉, 옷이나 침구 같은 다양한 환경을 통해 감염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 사람이 많은 곳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 손을 자주 씻는 것이 좋습니다.
- 9월에서 10월 11월 초까지는 독감 예방 백신을 맞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독감은 11월이나 12월에 시작하기 때문에, 이보다 한 달 전인 10월에 백신을 맞는 것이 중요합니다.
독감 예방주사를 맞은 뒤 주의사항
- 독감 예방접종을 하면 드물게 열이 나거나 근육통이 날 수 있습니다.
- 독감 예방 접종한 부위를 문지르지 않고,
- 3시간 정도는 몸상태를 잘 살피고,
- 과격한 운동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또 접종 뒤 3일 안에 높은 열이 나면, 병원을 찾아 검진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독감 예방주사를 맞아도 독감에 걸리나요?
- 독감 백신을 맞았어도, 독감에 걸릴 수 있습니다.
- 독감 예방 접종을 하면, 독감에 걸릴 확률이 40%~60% 사이로 줄어듭니다.
- 독감 예방 주사를 맞은 후, 독감에 걸릴 수는 있지만,
백신으로 인해 독감에 걸리진 않습니다.
백신 맞은 뒤에도 걸릴 수 있다는데, 왜 맞아야 하나요?
- 맞은 후라면, 독감에 걸리더라도 고통스러움이 경감됩니다.
- 독감 백신을 맞으면 독감 증상의 중증도가 떨어집니다.
- 독감 예방접종은 독감으로 인한 입원, 사망 위험을 줄여줍니다.
- 독감 바이러스의 확산 방지 위해
- 가족과 지역사회를 독감으로부터 지키기 위해.
독감 치료
다행히도, 독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치료제가 개발되었기 때문에,
증상이 생기고 48시간 안에 먹으면 치료가 가능합니다.
- 휴식
- 발열이나 통증을 줄이기 위한 약물치료
- 물과 같은 체액
((처방전 없이 구매하는 기침과 독감 약은 6세 미만의 아이에게 주어선 안됩니다.))
반응형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탈모 치료, 집에서 할수있는 10가지 치료법 (0) | 2022.07.25 |
---|---|
여드름 집에서 관리법, 여드름의 유형(블랙 헤드, 화이트 헤드 등) (0) | 2022.07.24 |
소아비만 원인!! 소아비만이 부르는 질환 (0) | 2022.07.22 |
만성 신부전증. 혈액투석, 복막투석(손투석,자동투석)에 대해 (0) | 2022.07.21 |
코골이 줄이는 방법!, 집에서 할수있는 코골이 치료법,운동법 (0) | 2022.07.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