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일광화상, 고데기, 끓는물 등 일상생활의 '2도화상'에 대해

by 필수건강 2022. 6. 17.

일광화상, 고데기, 끓는 물 등 일상생활의 2도 화상에 대해 알아봅시다.

일광화상,햇빛화상

2도 화상이란?
2도 화상은 대부분의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화상입니다.

고데기에 손이 데거나, 뜨거운 물에 데거나, 밥솥에 손이 데거나 해서 입은 화상이 대부분 2도 화상입니다.

2도 화상 또는 부분 두께 화상이라 불리는데,

상태는 1도 화상보다 심각합니다.

표피라고 불리는 피부의 바깥층과 진피라고 불리는 두 번째 층의 일부가 침범됩니다.

 

매우 고통스러울 수 있으며, 종종 치유하는데, 몇 주가 걸리기도 합니다.

또한 넓은 부분에 2도 화상을 입었다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감염되기 쉽습니다.

1도,2도,3도 화상 (화상의 정도)

1도 화상(1차 화상)은 일반적으로 피부 표피층에만 경미한 영향을 미칩니다.
  화상의 가장 일반적인 유형이고, 일광 화상도 1도 화상에 속합니다.

2도 화상(2차 화상)은 표피와 진피에 영향을 미치는 더 심각한 
 화상이고, 회복하는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3도 화상은 가장 심각한 유형으로, 표피, 진피에 영향을 미치고, 땀샘과 같은 조직에도 영향을 줍니다.
 피부이식이 필요합니다.

햇빛 화상

 

2도 화상은 다음과 같은 경우 더 위험합니다.
  • 신체 넓은 부위에 침범당했을 때
  • 관절, 얼굴, 손에 침범당했을 때
  • 성기나 엉덩이에 침범당했을 때
  • 암에 대한 화학요법을 받는 사람과 같이 면역체계가 약화된 사람에게 발생했을 때
2도 화상은 넓은 부위를 덮거나, 올바른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 심각한 감염을 일으킵니다.

 

출처: 백과사전

2도 화상의 몇 가지 일반적 원인
  • 장시간 햇볕에 앉아 있을 때
  • 오븐과 스토브로 인한 사고로 인함
  • 화재에 노출되었을 때
  • 끓는 물에 데었을 때

 

어린이가 뜨거운 버너에 손을 얹거나 하는 우발적 부상이 2차 화상의 일반적 이유입니다.

2도 화상의 증상

 

2도 화상의 증상

일반적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젖은 것처럼 보이거나 스며드는 상처
  • 물집
  • 불규칙한 패턴의 화상
  • 흰색, 매우 갚은 빨간색 또는 어두운 갈색으로 보이는 피부

 

출처:풍년

치료

이차 화상을 입으면 제대로 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피부를 자극하지 않고, 화상을 덮고 있는 옷이나 보석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면 하는 것이 좋고, 할 수 없다면 그대로 둡니다.

시원하지만 차갑지 않은 말로 화상을 식히도록 합니다. ( 얼음을 사용하면 안 됨)

탈수를 막기 위해 물이나 전해질 액체를 충분히 마시도록 합니다.

거즈 또는 느슨한 드레싱으로 화상을 덮으세요

(순환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단단히 감싸진 않도록 합니다)

물집은 터트리지 않도록 합니다.

민간요법을 적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2도화상 응급처치

회복
2도 화상은 회복하는데, 며칠에서 몇 주까지 걸릴 수 있습니다.

사람이 합병증을 일으키면 회복이 더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OTC 진통제, 이부프로펜, 아세트아미노펜을 복용하고, 화상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덮으십시오.

상처가 닫히고 배수가 멈추면 정기적을 화상에 수분을 공급하십시오.

치유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흉터를 줄이거나 예방할 수 있습니다.

 

OTC 항생제 연고를 상처에 바르면 깨끗하게 유지하고, 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상처를 다시 열어 감염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화상을 문지르거나 긁거나 따기를 피하십시오.

사람이 발열을 일으키거나, 화상 주위에 붉은 줄무늬가 있음을 발견하거나, 증상이 갑자기 악화되었다고 생각하면 감염이 있을 수 있습니다.

2도화상 응급처치

많은 일반적 사고는 피부에 뜨거운 것을 흘리거나, 뜨거운 가전제품에 데어 2도 화상이 발병됩니다.

신속한 치료를 받은 것은 흉터, 감염 및 기타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빨리 병원으로 가는 것이 좋습니다. 

화상이 크거나 고통스럽다면 응급실로 가는 게 가장 좋겠습니다.

 

 

 

 

반응형

댓글